2019-02-27

(음향 책) 과학으로 풀어보는 음악의 비밀

과학으로 풀어보는 음악의 비밀
How music works (John Powell)



음악과 음향에 대해서 아주 재미있게 쓴 입문서.
음향이나 레코딩, 음악에 관심이 있다면 반드시 읽어보면 좋을것 같다.
내용도 쉽고 재미있게 써 있어서 지루하지 않다.

나도 이렇게 글 쓰고 싶은데...

(음향 책) 자연의 노래를 들어라




자연의 노래를 들어라 (버니 크리우스 지음/장호연 옮김)
The great animal orchestra (Bernie Krause)

'지구와 생물 그리고 인간의 소리풍경에 대하여' 라는 부제를 가진 책이다.
인간을 둘러싼 자연 환경에서 만들어지는 다양한 소리에 대한 감상, 그리고 개발로 파괴되어 사라져 가는 자연음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이 녹아있다.

보통 환경의 변화를 소리의 변화로 파악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저자의 방대한 녹음과 분석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말해준다. 소리 풍경이 얼마나 민감한 자연 변화의 척도가 될 수 있는가를 알려주고, 살아있는 자연과 그렇지 않은 자연의 소리가 달라지는 것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소리와 환경, 심리, 정서, 사운드 디자인 등에 관심이 있다면 한 번은 읽어봐야할 책이다.

2018-09-29

감쇠와 감쇄의 차이

강의 자료를 만들다가 attenuation을 감쇠로 써야할지 아니면 감쇄로 써야할지 몰라서 찾아봤다.

결론은...
신호가 줄어든다는 의미로 쓴다면 '감쇠'가 맞고
신호가 소멸된다는 의미가 강하면 '감쇄'로 쓰는게 맞을것 같다.

국립국어원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었다.

안녕하십니까?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감쇠(減衰)’와 ‘감쇄(減殺)’를 찾아보시면, 
‘감쇠’는 ‘힘이나 세력 따위가 줄어서 약하여짐.’으로, ‘감쇄’는 ‘줄어 없어짐. 또는 줄여 없앰.’으로 풀이되어 있습니다. 
즉 ‘감쇠’를 쓰는 대상은 ‘힘이나 세력 따위’이며, ‘감쇄’는 대상에 대한 기준이 없습니다. 
또한, ‘감쇠’는 ‘약해짐’의 의미로 본다면, ‘감쇄’는 ‘없어짐, 없앰’의 의미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영원할 것 같던 정열도 시간이 갈수록 감쇠해 간다.’에서 ‘감쇠’는 ‘힘이나 세력 등이 점점 약해져 간다’의 의미를 갖고, ‘나이가 들면서 미술에 대한 그의 열정도 어느새 감쇄하여 버렸다.’에서 ‘감쇄’는 ‘(열정이) 점점 없어져 버렸다’의 의미를 갖습니다. 

각각의 단어에 대한 예문은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더 자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참고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61&qna_seq=37524